
※ 본 내용은 SGY컴퍼니 윤성구 대표이사(물류학박사)의 방송 내용 일부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을 통해 확인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로지브리지 구독자 여러분. 늘 감사한 마음으로 이 자리에 나옵니다. 제가 방송에 나올 때마다 욕을 좀 먹긴 하지만, 그래도 로지브리지 관계자분들께서 가끔 저를 불러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오늘은 택배 이야기가 아닌, 지난 방송에서 큰 호응을 얻었던 3PL 관련 주제를 다뤄볼까 합니다. 특히 국내 소기업 3PL 창업 및 운영 전략에 대해 실무자이자 경영자 입장에서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현재 택배 회사와 풀필먼트 회사를 운영 중인데, 대기업 3PL은 아니에요. 중소기업, 그중에서도 소기업에 초점을 맞춘 3PL을 다루고 있죠. 오늘은 적은 자본과 작은 창고로 시작할 수 있는 3PL 운영 전략과, 현재 포화 상태인 국내 3PL 시장의 현실을 깊이 파헤쳐볼게요.
3PL이란 무엇일까요. 3PL은 회사가 필요한 물류 관리 과정을 외부 전문 업체에 위탁하는 방식입니다. 쉽게 말해, 하청 개념이죠. 전문성 있는 물류 처리, 재고 관리, 복합 물류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게 3PL의 핵심 업무입니다. 예를 들어, 제조업체에서 물건을 생산한 뒤 외부 포장 대행 업체에 보내 포장하고, B2B나 B2C 택배 또는 화물차를 통해 발송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게 바로 3PL이에요.
국내 소기업 3PL의 경영 환경은 코로나 전후로 크게 나뉩니다. 코로나 이전에는 일반적인 운영과 매출 성장이 꾸준히 이루어졌어요. 하지만 코로나 이후, 온라인 이커머스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택배 물동량도 급증했죠. 소비자들이 마트 대신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하면서, 포장과 발송 업무가 한계에 부딪혔고, 이를 외주로 위탁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로 인해 3PL 창고업에 종사하거나 신규 투자를 하는 기업들이 늘어났어요. 특히 이커머스 성장으로 중소형 셀러들이 급증했죠. 네이버, 티몬, 위메프, 쿠팡 같은 플랫폼을 통해 개인화된 판매가 늘면서, 소규모 3PL 위탁 수요도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국내 3PL 시장은 포화 상태입니다. 2024년 상반기 기준, 수도권 물류센터의 평균 공실률은 약 18%로, 2023년보다 6.6% 증가했어요. 특히 저온 물류센터는 공실률이 41.2%에 달합니다. 이는 코로나 시기 과잉 공급과 이커머스 성장 둔화 때문이에요. 중국발 직구 물량이 늘면서 보관보다 빠른 출고가 주를 이루고, 쿠팡 같은 대기업의 대규모 물류센터가 시장을 장악하면서 소규모 창고는 공실률이 높아지고 있죠.
소기업 3PL 창업을 꿈꾸는 분들께 첫 번째 조언은 시장 이해입니다. 포화된 시장에서 기회를 찾으려면 타겟 시장을 명확히 해야 해요. 예를 들어, 냉동·냉장 상품을 다룰지, 상온 상품에 집중할지, 아니면 소형 택배에 특화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계절성을 고려한 리스크 관리도 중요해요. 여름철 냉동·냉장 상품 수요가 높아지면 상온 창고만으로는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죠. 반대로, 냉동·냉장 창고를 운영한다면 계절별 수요 변화를 유연히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합니다.
창업 초기에는 작은 규모로 시작하세요. 퇴직금으로 수백 평 창고를 임대하는 건 위험합니다. 60평 정도의 소규모 창고로 시작하면, 임대 보증금, 기본 시설, 전기세 등을 포함해 약 300만 원으로 가능합니다. 처음 1년은 학원 다닌다고 생각하며, 본인이 직접 운영하며 배우는 시간을 가지세요. 예를 들어, 제가 처음 3PL을 시작했을 때는 40평 창고에서 택배 화주를 위해 물건을 보관하고 송장을 붙여 발송하는 단순한 작업으로 시작했어요. 이 작은 시작이 지금의 회사로 성장한 밑거름이 됐죠.
#3PL #물류 #소기업창업 #3PL창업 #물류창고 #이커머스 #택배 #풀필먼트 #창고관리 #재고관리 #물류센터 #공실률 #온라인쇼핑 #중소기업 #창업가이드 #물류전략 #콜드체인 #냉동물류 #창업팁 #사업전략 #물류운영 #화주사 #B2B #B2C #창고임대 #택배비용 #시장분석 #창업준비 #운영노하우 #SEO최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