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의 시절은 끝났다…'화주' 원하는 '도심물류' 도래

요즘 무신사, 지그재그, 브랜디, 에이블리, 스타일쉐어 등 패션 플랫폼이 인기입니다.

하지만 모든 플랫폼이 쉽게 해결하지 못하는 '고민'이 있습니다.

바로 '택배'입니다. 

 

요즘 무신사, 지그재그, 브랜디, 에이블리, 스타일쉐어 등 패션 플랫폼이 인기입니다.

 

하지만 모든 플랫폼이 쉽게 해결하지 못하는 '고민'이 있습니다.

 

바로 '택배'입니다. 

 

플랫폼에 입점한 각각의 판매자와 계약을 맺은 택배기업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고객이 통합결제로 복수의 상품을 주문하더라도 배송날짜와 시간이 모두 제 각각입니다.

 

예컨대 바지와 신발, 티셔츠, 모자를 주문했다고 가정하면, 바지와 신발은 CJ대한통운이, 상의는 한진택배가, 모자는 롯데택배가 배송하는 식입니다.

 

 

 

고객 입장에선 상당히 불편한 구조입니다.

 

만약 택배기업 간 배송정보가 공유된다면 이러한 고민은 말끔하게 해결이 됩니다.

 

하지만 경쟁업체 간 배송정보를 공유하는 건 영업정보 누출을 비롯해 복합적인 이유로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릅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택배기업 간 정보공유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이 역시 기술이 검증되기까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으며, 대기업 간 협업이 가능할지는 미지수입니다.

 

패션 플랫폼은 진화하는데, 왜 택배사업의 혁신 속도는 더디기만 한 걸까요?

 

소비자는 택배기업 간 상충되는 입장을 이해하며 마냥 불편을 감내해야 하는 것일까요?

 

 

저희는 이 고민의 실마리를 '도심물류'에서 찾아 보기로 했습니다.

 

하나의 플랫폼에서 주문과 결제를 했으며, 택배도 한 번만 받으면 좋지 않을까? 왜 바지와 신발, 모자는 따로 배송이 되는 것일까?

 

소비자 입장에선 여러명의 택배기사를 만나는 것보다, 단 한명의 택배기사만 접촉하길 바라지 않을까?

 

'그렇다면 소비자에게 물품이 배송되기 전 모든 택배를 도심 내 거점에 다시 모으고, 이를 다시 소비자에게 배송한다면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라는 질문에서 '도심형 공동배송 플랫폼'의 필요성을 생각해보게 됐습니다.

 

우리나라 택배기업 시스템은 대부분 허브 앤 스포크(Hub&Spoke) 방식으로 운영이 되는데, 허브(Hub)는 자전거 바퀴 축을 뜻하고, 스포크는 바퀴의 살을 뜻합니다.

 

 

전국 각지의 택배를 중심 허브에 모았다가, 다시 최종 목적지까지 배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을 말단배송(라스트마일) 단계에 다시 한 번 더 적용하면 어떨까요?

 

모든 택배를 도시 구역별 거점에 모으고, 인구와 면적 등을 고려해 배송 동선을 최적화해 배송 구역별 담당 택배기사가 다회전 배송을 하는 방식입니다.

 

배송물량이 늘어나면, 택배기사의 배송 밀도는 더 촘촘해지고, 구역은 더 좁아지게 됩니다.

 

기존 방식에 비해 생산성과 효율성 모두 높아지게 되며, 노동의 강도는 줄어듭니다.

 

지금은 CJ대한통운, 한진, 롯데 등이 각각의 서브터미널을 운영하며 배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배송지가 중복되고 적재율이나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만약 수도권 중심에 도심형 소형 물류센터&터미널을 구축하고 정규직 택배기사가 특정 지역을 전담하며, 배송을 일괄적으로 다빈도 배송을 한다면 비용은 줄이고, 효율성은 높일 수 있습니다.

 

즉 기존 택배대리점의 역할을 제3자가 통합해 진행하면, 소비자를 직접 대면하는 말단배송 부문에서 상당한 비용절감은 물론 배송효율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택배기업 입장에선 말단배송에 대한 리스크를 탈피해 소비자 분쟁, 특고직 등 다양한 이슈에서도 조금 더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택배업무를 진행하는 제3자는 택배기사를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모든 차량을 도심형 친환경 전기차량으로 직영화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완전히 새로운 판을 짤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나아가 도심 내 터미널 내부는 CJ대한통운 서브터미널에서 이미 사용되는 '휠소터' 등을 도입해 다회전 배송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운송 수단 또한 품목이나 지리적 환경, 또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이륜자동차, 라보, 다마스, 1톤차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택배기업 입장에선 제3자에게 자사의 물량을 위탁할 이유와 명분이 약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미 우리나라 대부분의 택배 구조는 택배기업 본사와 대리점이 계약을 맺고, 대리점이 다시 택배기사와 계약을 맺는 구조이기 때문에 충분한 자금력과 도심 곳곳에 유휴 공간을 보유한 제3자가 있다면 협업을 하지 않을 이유도 없습니다.

 

더군다나 지그재그, 무신사, 브랜디, 에이블리와 같은 플랫폼이 제3자와 협업을 맺고 이러한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한다면 또 다른 판이 짜여 질 겁니다.

 

화주 혹은 화주가 모인 플랫폼이 시장을 바꾸겠다고 마음 먹으면, 물류나 택배기업은 그에 종속되거나 따라 갈 수밖에 없는 현실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전자상거래 플랫폼 카페24는 전국 56곳 창업센터를 통해 센터에 입주한 기업을 대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단일 택배사와 택배계약을 맺도록 돕고 있습니다.

 

 

지그재그는 2017년 6월 자사 블로그를 통해 '지그재그는 쇼핑몰 모음앱으로 아쉽지만 통합결제 기능은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2020년 6월 현 시점 지그재그는 통합결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그재그나 무신사와 같은 플랫폼은 자사에 입점한 판매자와 자사 플랫폼을 이용하는 고객들 모두를 만족시켜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고객의 불편을 외면하기 어렵습니다.

 

반대로, 모든 플랫폼에서 겪는 동일한 문제와 불편을 특정 플랫폼이 명쾌하게 해결한다면 더 많은 이용자들이 선호할 겁니다.

 

그래서 주도적으로 시장의 질서를 바꾸며, 경쟁사에 비해 한 발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현명하지 않을까요? 

 

택배 묶음배송이나 합배송은 화주와 소비자가 원하는 시대적 요구입니다. 

 

택배기업들이 합작법인을 세우든, 제3자에 물량을 위탁하든, 분명한 건 화주와 소비자는 언제나 더 나은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글쓴이
비밀번호
비밀번호 확인
평점 주기
작성된 후기가 없습니다.
후기 수정
글쓴이
평점 주기
목록으로 가기
재입고 알림 신청
휴대폰 번호
-
-
재입고 시 알림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블로그
밴드
floating-button-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