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2030년까지 자국의 국가 컨테이너선사를 설립하고, 2035년까지 선박의 절반을 자국 조선소에서 건조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인도 정부는 주요 조선소와 협력해 친환경 선박 설계 및 금융 지원을 병행하며, 자국 해운 산업 자립도를 높이려 하고 있습니다.
🤔 그린 선박·연료 전환 로드맵
인디아 타임스에 따르면 인도는 2047년까지 LNG, 메탄올, 수소 등 저탄소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 비중을 30%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항만 전력화, 친환경 연료 벙커링 인프라 구축 등 ‘그린 쉬핑 코리도어’ 계획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항만·조선 인프라 확충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바드하반(Vadhavan), 갈라테아베이(Galathea Bay) 등 메가포트 건설이 진행되며, 2030년까지 세계 조선 시장 점유율 5% 확보를 목표로 10개 세계 수준 조선소를 민관합작으로 설립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물동량 처리 속도를 높이고 물류비를 절감할 계획입니다.
😶 내수·수출 경쟁력 강화
내륙 수로 화물 운송량은 2014년 대비 300% 이상 증가했고, 이는 물류비 절감과 탄소 배출 감축에 기여했습니다. 인도 정부는 2030년까지 2조 달러 수출 달성을 위한 핵심 축으로 해운·항만 인프라를 꼽았습니다.
😐 인재 육성과 기술 혁신
인도 정부는 5만 명 이상의 조선·항만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자율운항 및 디지털 선박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국가 조선 정책을 준비 중입니다. AI, IoT, 블록체인을 활용한 ‘스마트 포트’ 구축도 병행됩니다.
🙄 지정학적 허브 도약
아시아 해상 화물의 절반 이상이 통과하는 인도양의 전략적 위치를 활용해, 인도는 인도-태평양, 중동, 유럽 주요 항로에서 중심적 역할을 노립니다. 이를 위해 다자간 항만 협력, 기술 이전, 해양 외교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로지브릿지 멤버십 회원사 '신트로밸리' 소개: 메신트로밸리는 2050탄소중립 실현과 기술집약 친환경 플랫폼 서비스, 친환경 상품개발을 통해 “더 푸른 Recreate Ecosystem Global 구축” 으로 지속가능한 기업이 되는 것을 비전으로 합니다. (더 자세히 보기)
⦁ 로지브릿지 멤버십 회원사 ‘오늘도 출근’ 소개: ‘오늘도 출근’은 일용직, 단기 근로자, 교대 근무자 등 스케줄 기반 인력 운영에 특화된 솔루션입니다. 근태관리, 전자근로계약서, TBM(작업 전 안전회의) 일지, 급여정산 등 인사·노무관리 전반을 통합 지원하며, 물류센터, 건설현장, 연회장 등 유동 인력이 많은 업종에서 실질적인 운영 효율성과 노무 리스크 절감을 가능하게 합니다. (더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