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이 국내 최대 해운사 HMM 인수 가능성을 본격 검토하고 있습니다. 철강과 2차전지 사업 부진으로 성장 정체를 겪는 가운데, 해운업을 그룹의 세 번째 성장축으로 삼으려는 포석으로 해석됩니다. 경향신문, 중앙일보 등 복수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삼일PwC, 보스턴컨설팅그룹, 대형 로펌과 자문단을 꾸려 사업성을 살펴보고 있으며, 산업은행 지분 인수를 통해 최대주주에 오르는 방안도 유력하게 거론됩니다.
😐 물류비 절감과 공급망 안정 노린다
포스코는 연간 약 3조 원의 물류비를 부담하고 있어, HMM을 인수하면 철광석·유연탄 수입부터 철강재 수출까지 밸류체인을 통합해 원가 절감과 운송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후판 등 주력 제품을 조선사에 판매하는 과정에서도 가격 협상력을 높일 수 있는 부가 효과가 기대됩니다.
😐 해운업계 반발과 제도적 장벽
그러나 해운업계 반발은 만만치 않습니다. 과거에도 대우로지스틱스 인수, 그룹 물류 자회사 설립 등이 업계와 노동조합 반대로 무산된 사례가 있습니다. 해운법 24조 7항에 따라 초대형 화주의 해운업 진출 시 해양수산부 정책자문위원회의 검토 절차를 거쳐야 하는 점도 부담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운임 차별 심사 가능성도 거론됩니다.
😐 재무 부담과 시너지 논란
HMM의 시가총액은 약 23~24조 원, 산은 지분만 약 7조 원 규모입니다. 포스코는 현금성 자산과 유동성을 감안하면 인수 여력은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지만, 연간 8조 8천억 원 규모의 설비투자 계획과 철강·2차전지 산업의 다운사이클을 고려할 때 재무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특히 HMM 매출의 80% 이상이 컨테이너선에서 발생해, 주로 벌크선을 활용하는 포스코와의 직접적 시너지가 제한적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 민영화 촉진 vs. 시장 질서 우려
일각에서는 HMM 같은 공공성이 큰 자산은 책임 있는 대형 화주가 인수해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하는 편이 낫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반면 해운업계는 대형 화주의 직접 소유가 운임 협상 구조를 왜곡해 시장 질서를 무너뜨릴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정부는 연내 HMM 매각 작업을 다시 추진할 계획이며, 새 산은 회장 임명 후 속도를 낼 가능성이 큽니다.
😐 실무자들이 점검해야 할 포인트
이번 인수 논의는 단순한 M&A 이슈가 아니라 국가 기간산업의 구조 재편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철강·에너지·조선·물류 전반에 걸친 시너지를 어떻게 설계할지, 해운법과 공정거래 규제를 어떻게 충족할지, 그리고 그룹의 재무 건전성을 어떻게 지킬지가 핵심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장기 선복 전략, 벌크·컨테이너 비중 조정, 공동 경영 구조, 물류비 절감 효과 검증 등을 선제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 로지브릿지 멤버십 회원사 '로지스올' 소개:로지스올그룹은 공유경제를 실현하는 풀링 시스템부터 최첨단 IT에 기반한 스마트 물류까지 고객의 SCM 최적화를 위한 맞춤 종합물류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글로벌 20개국 100여 개 물류거점을 중심으로 35만 고객사에 물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더 자세히 보기)
⦁ 로지브릿지 멤버십 회원사 '오토스토어' 소개: 오토스토어는 전 세계 45개국의 다양한 업계에서 1,450여 곳의 스마트 물류창고에서 67,500대 로봇의 99.7%가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검증된 시스템입니다. 이커머스, 식료품, 리테일, 제약 그리고 제조업까지 기존의 공간을 ¼로 줄이고 효율을 높이세요. (더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