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이 올해 말까지 미국 2,300개 지역에서 식료품 당일배송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했어요. 이미 1,000여 개 도시에서 운영 중이고, 기존 당일배송 물류센터에 냉장·냉동 시설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커버리지를 넓히고 있다고 합니다. 코스타 보도에 따르면, 아마존은 신규 창고를 짓는 대신 기존 인프라를 개조해 투자 부담을 줄이고 있습니다.
😯 한국 새벽배송 시장, 이미 과열 경쟁
한국은 이미 신선식품 온라인 배송이 생활화된 시장이에요. 마켓컬리, 쿠팡, SSG닷컴 등이 주도하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성숙기에 접어드는 모습입니다. 특히 쿠팡은 전국 100여 개 물류센터를 기반으로 국민 70%가 10km 이내 거주하도록 배송망을 구축해, 아마존의 ‘20분 내 도달’ 전략과 유사한 모델을 만들어 나가고 있어요.
😮 콜드체인, 핵심 인프라로 부상
신선식품 배송이 늘면서 콜드체인 물류센터가 한국에서도 필수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어요. 하지만 글로벌 통계(Global Cold Chain Alliance)에 따르면 한국의 1인당 냉장창고 용적은 여전히 미국에 비해 부족하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CJ대한통운과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온도 물류센터를 확대 중이고, AI 기반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도 빠르게 도입되는 추세입니다.
😖 기술 투자 없이는 수익성 확보 어려워
식료품은 마진이 낮아 배송 효율성이 생존을 가르는 요소예요. 코스타에 따르면 아마존은 최근 물류로봇과 AI 기반 로봇 관제 시스템(DeepFleet)을 도입하며 처리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많은 기업들이 AGV, 자동 분류 로봇 등에 투자하며 자동화에 나서는 추세죠. 결국 이제는 자동화 투자 없이는 신선식품 배송에서 지속 가능한 수익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 한국 업계가 배워야 할 점은?
아마존의 전략은 크게 두 가지예요. 기존 인프라 최대 활용과 경기 불황에도 수요가 꾸준한 식료품을 통한 안정적 성장. 한국 유통업계도 이미 빠른 배송 경쟁에서는 앞서 있지만, 앞으로는 ▲콜드체인 확충 ▲AI·자동화 도입 ▲배송망 전국 확대 ▲부가수익 모델(멤버십·광고 등) 강화가 핵심이 될 겁니다. 결국 승자는 “더 빨리, 더 신선하게, 더 효율적으로” 고객을 만족시키는 기업일 거예요.
⦁ 로지브릿지 멤버십 회원사 ‘오늘도 출근’ 소개: ‘오늘도 출근’은 일용직, 단기 근로자, 교대 근무자 등 스케줄 기반 인력 운영에 특화된 솔루션입니다. 근태관리, 전자근로계약서, TBM(작업 전 안전회의) 일지, 급여정산 등 인사·노무관리 전반을 통합 지원하며, 물류센터, 건설현장, 연회장 등 유동 인력이 많은 업종에서 실질적인 운영 효율성과 노무 리스크 절감을 가능하게 합니다. (더 자세히 보기)
⦁ 로지브릿지 멤버십 회원사 'SCM협회' 소개: 한국SCM협회에서는 물류자동화에 관심 있는 실무자와 예비 전문가를 대상으로 ‘제4기 물류자동화 전문가 양성과정’을 운영합니다. 이번 과정은 일본 전시회 및 선진 물류기업 견학이 포함되어 있으며, 수료 시 물류자동화 지도사 자격 취득도 가능합니다. (더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