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제조·유통·물류 현장에서 ‘사람의 생명’이 최우선 가치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독일, 일본, 싱가포르 등 선진국은 기술·제도·문화가 결합된 시스템을 도입하며 중대재해를 줄이는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 알코아의 ‘안전이 곧 경영 성과’ 모델
미국 알루미늄 제조기업 알코아는 폴 오닐 CEO 재임 당시 “산재 제로”를 공식 목표로 내세웠습니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에 따르면,모든 사고를 24시간 내 CEO에게 보고하도록 의무화하고, 작업자가 위험을 느끼면 즉시 라인을 멈출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습니다. 이런 조치로 재해율은 미국 평균의 1/20 수준으로 감소했고, 품질과 수익성도 함께 개선됐습니다.
🤔 UPS의 체계적 운전자 교육
미국 UPS는 운송안전 전문매체 트랜스포트 토픽스(Transport Topics)에 따르면, 신규 배송기사에게 20시간 이상 집중 교육과 멘토링을 제공하고, 방어운전 5원칙을 전 기사에 습관화시켰습니다. 좌회전 최소화 같은 데이터 기반 경로 설계와 무사고 기사 포상 제도로 동기를 부여한 결과, 업계 최저 사고율과 높은 신뢰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DHL의 디지털 안전관리
독일 DHL은 자사 공식 보도자료에 따르면, IoT·AI 기반 차량·창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급가속·급정지, 졸음운전 등을 실시간 감지하고 즉시 조치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을 도입한 20개 사업장에서 사고 건수는 26%, 위험운전 행위는 65% 감소했으며, 안전 관련 비용도 절반 가까이 줄었습니다.
🙂 일본의 ‘무재해 운동’
일본 산업안전보건공단(JISHA)에 따르면, 1970년대부터 위험예지훈련(KYT)과 ‘지적·호칭’ 습관을 전국적으로 확산시켰습니다. 근접사고까지 공유하고 개선하는 문화가 자리잡아, 산업재해 사망자 수를 1970년대 대비 80% 이상 줄이는 장기적 성과를 거뒀습니다.
😮 싱가포르의 국가 차원 WSH 전략
싱가포르 인력부(Ministry of Manpower)에 따르면, 2006년 산업안전보건법 개정과 함께 교육·인센티브·강력한 법 집행을 병행하는 국가전략을 추진했습니다. 그 결과 산업재해 사망률이 6년 만에 절반 이하로 줄었고, 현재 세계 최상위권 안전국 반열에 올랐습니다.
😎 우리가 배울 점은?
이들 사례는 최고경영자의 강력한 안전 리더십, 현장 참여, 데이터 기반 위험관리, 정부·업계 협력이 결합될 때 효과가 극대화된다는 공통점을 보여줍니다. 한국의 제조·유통·물류 산업도 이러한 접근을 벤치마킹해 안전과 생산성을 동시에 높이는 전략을 설계할 필요가 있습니다.
⦁ 로지브릿지 멤버십 회원사 '로지스올' 소개:로지스올그룹은 공유경제를 실현하는 풀링 시스템부터 최첨단 IT에 기반한 스마트 물류까지 고객의 SCM 최적화를 위한 맞춤 종합물류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글로벌 20개국 100여 개 물류거점을 중심으로 35만 고객사에 물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 자세히 보기)
⦁ 로지브릿지 멤버십 회원사 '신트로밸리' 소개: 메신트로밸리는 2050탄소중립 실현과 기술집약 친환경 플랫폼 서비스, 친환경 상품개발을 통해 “더 푸른 Recreate Ecosystem Global 구축” 으로 지속가능한 기업이 되는 것을 비전으로 합니다. (더 자세히 보기)